기상조건이나 계절에 따라 가격 변동이 큰 품목을 따로 집계한 것을 '신선식품 지수'라고 하는데요. <br /> <br />주부들이 느끼는 장바구니 물가에 가까운 지수라고 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달 신선식품 지수를 살펴보니,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하면 무려 14.9%나 상승했는데요. <br /> <br />이렇게 신선식품 가격이 대체로 오른 이유, 날씨 탓이 컸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달 전국에 폭염과 함께 수도권과 강원, 충청 지역에 내린 폭우가 농산물 수급에 영향을 미친 겁니다. <br /> <br />품목별로 가격이 얼마나 올랐나 보니, 호박은 지난해보다 무려 83% 넘게 값이 올랐고요, 배추는 78%, 오이도 69% 넘게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올라도 너무 올랐다는 말을 실감할 수 있을 정도입니다. <br /> <br />상황이 이렇다 보니, 정부도 추석을 앞두고 물가 안정을 위한 정책적 수단을 총동원한다는 방침인데요. <br /> <br />특히 가격이 높은 배추와 무 등 일부 농산물은 정부 비축물량과 농협 계약물량을 활용해 지난달 말부터 이번 주까지 추가 공급에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농산물 가격 상승 흐름은 이번 달에도 계속될 것으로 보이는데요. <br /> <br />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오늘 내놓은 보고서를 보면 주요 농산물 출하량이 줄어 가격 상승이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습니다. <br /> <br />출하량이 얼마나 줄었나 살펴봤더니, 풋고추는 25%, 빨간색 파프리카의 경우 17%, 오이와 호박 역시 10% 넘게 출하량이 감소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풋고추 가격은 지난해 9월보다 무려 89% 올랐고, 파프리카도 46% 넘게 값이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태풍 힌남노의 영향이 반영되지 않은 전망이다 보니, 실제 가격은 더 상승할 가능성도 있는데요. <br /> <br />추석 이전부터 이어진 채솟값 오름세가 추석 연휴는 물론, 11월부터 시작되는 김장철까지 계속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와 소비자들의 고민은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엄지민 (thumb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20906153001786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